감정의 롤러코스터 emotional rollercoaster
by Claudia Hammond 클라우디아 해먼드



슬픔
p81
슬픔이라는 감정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기관은 당연히 뇌이다.  슬픔을 느끼면 뇌의 수백만 뉴런들 사이를 릴레이 방식으로 연결하는 신경 전달 물질, 즉 화학적 메신저들의 양이 달라진다. 그런 신경 전달 물질 중에슨 세로토닌도 있다. 1000분의 1초마다 배출되어 뇌의 모든 활동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중요한 물질이다. 그런데 우울한 사람에게는 이 세로토닌 수준이 낮아 진다. 프로작 같은 항우울제는 바로 이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프로작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이다. 정상적인 경우 신경 말단에서 분비된 세로토닌이 뇌의 수용체에 작용하지만 세로토닌 양이 너무 많아지면 신경 말단에서 다시 흡수되어 버린다.

우울증
p83
우울증과 슬품의 차이는 사회적으로 규정된다. 오래 지속되는 극단적인 슬픔은  그 어떤 친구와 가족도 도와줄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한다. 그런 지경에 이른 사람, 예를 들어 클로에와 같은 경우는 전문가를 찾게 되고 우울증이라는 진단을 받는다. 이 진단 덕분에 클로에는 마음의 위안을 얻었고 다른 사람을 비난하지 않고도 자기 감정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우울증 증사은 크게 네 부류로 나뉜다. 우울증 환자라고 해서 이 모든 중세를 다 느끼는 것은 물론 아니다. 가장 명백한 것은 감정적 증상들이다. 환자들은 아침에 가장 슬프고 비참한 느낌을 가지곤 한다. 그 느낌은 '희망 없는', '고독한', '쓸쓸한'등으로 표현된다. 정상 상태라면 충분히 즐거울 활동 , 예를 들어 맛있는 음식을 먹는다든지 친구를 만나는 것도 불안하거나 재미 없게 느껴진다. 두 번째는 신체적 증상들로 아침에 너무 일찍 잠에서 깬다든지 식욕이나 성욕이 감퇴하는 경우가 있다. 세 번째는 행동의 의욕과 관련된 증상이다. 우울증 환자들은 새로운 일을 시작하거나 결정을 내리는 데 커다란 어려움을 겪는다.
마지막이자 가장 흥미로운 증상은 인지적인 측면이다. 이는 사고와도 연결된다. 약간이라도 슬픈 감정을 가지게 되면 생각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즐거운 음악을 들을 경우 긍정적인 단어를 먼저 떠올리며, 슬픔 음악을 들을 경우 부정적이고 우울한 단어를 먼저 떠올린다. 음악을 통해 잠깐 동안야기된 감정이 이러한 영향을 끼칠 정도라면 우울증 환자들의 뇌 작용에는 한층 더 크고 장기적인 영향이 나타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의 변화는 우울 증세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우울증 환자들은 스스로 쓸모없다고 느끼며 무언가 잘못된다면 모두 자기 잘못이라고 믿기 시작한다. 실수로 안경을 떨어 뜨려 깨뜨렸다고 하자. 우울증이 없다면 잠깐 동안은 당황하더라도 돋 유리 조각을 치운 후 더 큰 사고가 나지 않았다는 데 안도하며 스스로를 위로 할 것이다. 하지만 우울증의 경우라면 자신을 비난하고 그 사고는 향후 모든 것이 엉망진창이 되어 버릴 증거라고 여기게 된다. 그리고 사방을 둘어 보면서 자기 삶에는 아무 희망도 없다는 증거를 찾는다. 긍정적인 면이 혹시 보인다 해도 무시하면서 말이다. 인지젹 치료법의 첫 단계는 바로 이러한 생각의 방식을 드러내는 것이다.

세로토닌 ......

'Cognition&Emo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톤 < 향연>  (0) 2011.01.17
즐거움 - 감정의 롤러코스터 emotional rollercoaster  (0) 2011.01.17
Art and Artificial Life - a Primer  (0) 2010.10.26
반추  (0) 2010.05.29
학습된 무기력 - Learned Helplessness  (0) 2010.05.29

+ Recent posts